유튜브 가부장제 뜻과 남편 점심 만들기
유튜브 가부장제 뜻과 남편 점심 만들기
가부장제란?
- 여성에 대한 남성의 일반적인 억압 체계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쓰인다.
일부 여성 전용 커뮤니티 중심으로 남편 점심 도시락을 싸주는 여성들이 시종이란 주장이 확산하는 중이라고 한다.
저들은 이런 종류의 내용의 동영상을 올리는 주부 유튜버를 항해서 남편 도시락 싸주면 노예 가부장제 체제 선전에 앞장선다는 비난을 하고 있다.
지난 13일 온라인에선 남편 점심 만들기 유튜브 뭐가 문제냐면요란 제목의 글이 확산.
이 글은 지난 8월 한 독자가 인터넷 신문고에 기고한 내용이라고 한다.
독자는 글에서 남편 점심 도시락을 싸주는 행위를 한 유튜버를 언급.
누군갈 사랑하는 마음으로 시작한 행동이 다른 이에게 주는 파급력을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힘을 잘 들여다보면 내조하는 여성으로서의 가치를 치켜세우는 모순이 생긴다.
현모양처, 참된 여성이란 말이 칭찬 댓글로 달릴 때마다 여성의 요리가 바깥일을 하는 남편을 보조하는 역할로 고정돼서 그렇다.
오랜 시간 도시락과 뗄 수 없었던 관계에 있던 주체는 여성이다.
여성의 요리와 도시락엔 바깥일을 하는 남편을 보필해 왔던 유구한 맥락이 있다.
부부의 사적인 사랑도 사회 구조 안에 있으며 아침 7시 집을 나서는 남편에 맞춰 새벽 5시 기상 후 냉장고 문을 열고 각종 제철 음식으로 채운 도시락은 익히 봤었던 가부장제의 단면이다.
남성은 일과 존중, 여성의 요리와 정성이란 단어로 애정을 표현하는 게 이상적인 부부 모델로 굳어진다면 사람들 인식 속에서 가부장제가 회귀할 것이다.
천사 혹은 참된 아내란 단어가 칭찬이 되는 상황에서 누군가 이 채널을 보며 살뜰히 내조하지 못하는 자신을 탓하게 되지 않을까?
요리 실력에 대한 감탄이 좋은 아내의 틀에 여성을 가두고 내조하지 못하는 여성에게 죄의식을 주는 걸 경계해야 하는 이유다."
글쓴이는 맞벌이 여성은 남편의 도시락을 싸주는 행위가 더더욱 문제라고 한다.
동일 노동과 동일 임금이 여성 노동권 표어가 되는 현실에 맞벌이 여성 배우자의 도시락이란 초과 노동의 초과 노동이라면서 논의는 또다시 여성 배우자 내조랑 마음씨를 찬양하는 것으로 덮였고 이럴수록 시대가 고팠던 건 가부장제 회귀란 게 명확해진다고 한다.
결국 여성 밥상을 받는 남성이 최고란 말, 결혼 후 큰 애랑 큰 아들이 되는 남성은 언제나 돌봄, 가정일에 무지해도 된단 시그널이 유튜브를 통해 침투하게 된다면서 여성의 요리를 다시 가정 안에 남편을 보조하는 역할로 축소하는 흐름에 더더욱 동의할 수 없다고 끝마쳤다.
잡담
개소리를 신랄하게 싸질러놨네.
유튜브 가부장제 뜻과 남편 점심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