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수길 트위치 망사용료 치지직 비난 논란

서수길 트위치 망사용료 치지직 비난 논란

아프리카 TV 창업자 서수길 아프리카 TV CBO.
그가 스트리밍 플랫폼인 트위치 국내 사업 철수.
그리고 네이버에서 준비 중인 치지직.
이것을 비난해서 논란이 일어난 것으로 전해진다.
14일 인터넷 방송 업계에 따르면 이렇다.
BJ 케빈 UP으로 활동 중인 아프리카 TV 서 씨.
이들은 전날 BJ 유은, 고토, 혜밍 등과 식사를 하며 대화하는 내용을 선보였다.
서 씨는 내년 3월 글로벌 플랫폼을 신설하며 숲으로 사명을 변경한다.
한국 아프리카 TV는 숲. 코리아로 변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당구, 음악 내용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발언은 트위치, 네이버를 언급하면서 시작됐다.
서 씨는 최근 한국의 비싼 망 사용료를 이유로 들었다.
그러면서 국내 사업 철수를 결정한 트위치를 비난했다.

"적자가 나서 사업도 못하면서 한국에서 기업 철수하면서 망 사용료 어쩌고 한다.
그걸 생각 없이 기자들이 받아 적어서 망 사용료 문제로 한국 사업을 접고라고 했다.
그게 아니라 아프리카 TV가 승리한 것이다.
우리 BJ, 시민들과 이용자가 이긴 것이다.
본질은 그것이다.
전 세계에서 트위치, 유튜브 라이브 방송 제대로 못한 게 한국뿐이다.
본질을 빼고 나오지도 않은 찌지직 갖고 뿌지직 갖고 얘기를 했다."

서 씨는 트위치 철수로 인해서 네이버에서 준비 중인 방송 플랫폼 치지직에 대한 기대가 못마땅하단 반응이다.

"본질을 흐리면서 무슨 망 사용료야?
망 사용료를 얼마 냈는지 까라고 해.
작년에 트위치가 신고한 매출액이 18억 원이야.
그 녀석들 그게 왜 그런 지 알아?
적자를 냈으니깐 세금은 한 푼도 안 내지.
매출을 안 잡았으니 부가세도 안 내.
금전 한 푼도 안 내는 것이다.
그것을 알아야 돼."

아프리카 TV는 트위치랑 비슷한 경영 조건에서도 지난 2020년부터 올해까지 영업 이익률 25~32% 정도를 유지하는 중이다.
하지만 아프리카 TV는 트위치랑은 다르게 이용자들이 컴퓨터를 임시 서버로 써서 영상을 송출하는 방식인 P2P 그리드 기술을 도입 중이다.

네티즌 반응

- 정말 저렴하시다.
- 스트리머들은 아직 나오지도 않은 치지직으로 간다고 하고 내부 직원들도 거기로 가고 이직하고 하니깐 열받았나 봐. 아프리카 TV 그림 구린 건 다 알고 있지 않나? 예전에 특정 BJ들 관련 문제로 그림 나락이었다면 요즘에는 상위 BJ가 룸빵 감성 방송을 한다. 그것을 통해서 유입이 생기는 걸 바라는 게 웃기다.
- 아프리카 TV 보는 사람들 수준 알만하다.
- 아프리카 TV는 그리드 기반이라 망 사용료도 적게 내고 이용자들에게 엑티브 X 가용하는데 무슨 헛소린지?

서수길 트위치 망사용료 치지직 비난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