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스몰스 미국 허리케인 밀턴 피해 지역 생중계 논란
마이크 스몰스 미국 허리케인 밀턴 피해 지역 생중계 논란
최근 허리케인 밀턴이 미국의 플로리다 주를 강타했다.
이에 주민들은 대피한 상태다.
이 와중에 한 온라인 스트리머가 해당 상황을 생중계해서 논란이 일어났다.
지난 12일 영국 bbc 따르면 이렇다.
스트리머 마이크 스몰스 주니어.
그는 지난 9일 밀턴이 상륙한 플로리다 주 탬파 모처에서 에어 매트리스, 우산, 라면 한 봉지를 챙겼다.
그는 밖으로 나가서 킥이란 플랫폼에서 생방송을 진행했다.
당시 지역은 허리케인으로 인해 대피 명령이 내려진 상태였다.
그는 1시간 이상 생방송을 진행했다.
해당 동영상은 킥에서 조회수 6만을 기록했다.
엑스 앱에서도 공유돼서 여러 명이 시청했다.
그는 허리케인 속에서 생존하면 7만 달러, 한화로 9천4백만 원을 준단 네티즌 제안으로 이런 일을 벌였다.
그는 지난달 27일 허리케인 헬렌이 상륙했을 때도 텐트를 들고 5시간 이상 생방송을 진행했다.
그는 지하도 아래에서 텐트를 치고 나서 사람들을 즐겁게 해 준단 취지의 말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해당 스트리머가 생방송을 통해 얼마나 벌고 지내는지는 제대로 밝혀지진 않았다.
다만 일부 스트리머는 시간당 300~400달러, 한화로 40~54만 원 정도를 번다고 한다.
이런 행동에 대해 언론은 스트리머들이 관심을 끌려고 저런 일을 벌이는 사례가 종종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탬파 경찰청은 성명을 통해 당국 대피 명령을 무시하면 소중한 생명이 위험해진단 입장을 밝혔다.
개인이 이런 경고를 무시하면 자신의 안전이 위태로워지고 구조를 위한 중요한 자원은 분산되며 남을 위한 중요한 조 작업이 지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지금 미국엔 3등급으로 상륙한 밀턴으로 인해 수백만 명의 주민이 대피한 것으로 전해진다.
사망자 숫자만 수십 명으로 전해졌다.
마이크 스몰스 미국 허리케인 밀턴 피해 지역 생중계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