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브 해야 뮤비 중국 문화 표절
걸그룹 아이브가 신곡 해야를 발표했다.
뮤직비디오가 중국 네티즌의 열렬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진다.
해당 뮤비 무대, 의상 등 뮤비 곳곳엔 한국의 전통적인 색채가 녹아들어가 있다.
이에 중국의 네티즌은 중국의 문화를 훔쳤단 주장을 내놓고 있다.
지난달 29일 아이브 소속사 스타쉽 엔터테인먼트는 유튜브, 공식 소셜미디어를 통해 아이브 두 번째 앨범인 아이브 스위치 발매에 대해 언급했다.
또한 타이틀곡인 해야 음원, 뮤직비디오를 공개했다.
해당 뮤비에서 아이브 구성원은 저고리를 기본으로 한 의상에 노리개를 착용하면서 동양풍의 색채를 띄웠다.
이어서 저마다 춤추는 무대 배경은 산수화를 연상시키는 그림이 펼쳐졌다.
곰방대, 전통 부채와 노리개 등 소품이 여기저기에서 눈에 띄었다.
아이브 구성원 중 하나인 안유진은 이렇게 소개했다.
해야에 한국풍으로 뮤비를 찍고 의상을 준비했다.이건 정말 의미 있었고 준비하면서 재미도 있었다.
많은 팬 중에서 글로벌 팬들도 관심을 가져줬으면 한다.
해당 뮤비에서 2D 원화, 작화 총괄과 콘셉트 아트와 캐릭터 디자인 등을 담당한 작가 박지은은 블로그를 통해 이렇게 소개했다.
"해야 뮤직비디오에 한국화 얘기를 한 스푼 담았다."
박 작가에 따르면 소속사에서 전통적인데 낯선 한국 그림을 요청했다.
박 작가는 해야의 공식 내용은 한국의 아름다움, 해를 사랑한 호랑이란 입장이다.
한지 위에 전통 재료로 그린 그림이라고 한다.
하지만 중국의 네티즌은 중국의 화풍을 베꼈다고 주장했다.
뮤비에 나온 수묵화 그림과 족자, 상서로운 구름과 노리개 매듭, 부채 등이 다 중국에서 기원했단 주장이다.
해야 뮤비 티저 시작 부분엔 족자가 나온다.
한 네티즌은 이렇게 주장했다.
두루마리는 중국 전통문화 일부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책 형태 중 하나다.
머리에 중국의 매듭을 썼다.
무대에서 표현한 산 그림도 한국엔 없는 풍경이다.
중국 남부에서만 존재한다.
일부 중국의 네티즌은 박 작가 소셜미디어에 링크를 찍고 비난을 퍼붓는 중이다.
해야 뮤비는 공개한지 하루 만에 천만 가까이 되는 조회수를 기록했다.
아이브는 이번 앨범은 기존 얘기 장르인 설화를 새로운 시각으로 표현해서 차별화를 둔 것이라고 한다.
또 다른 나로 나아가는 확장식과 나르시시즘을 바탕으로 구성원의 색을 확장한 내용이 담겨있다고 한다.